목회칼럼

조회 수 1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의 문제 대학 입시의 문제

 

지난 주에 한국의 문제로서 저출산의 문제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저출산의 가장 이유가 아이를 키울 자신이 없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세상적으로 성공하려고 엄청나게 경쟁하는데, 그러려면 좋은 대학에 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엄청나게 공부해야 하고 사교육비도 많이 듭니다.

 

성균관대 의대에 합격한 사람이 서울대 의대에 가려고 재수를 하는 형편입니다. 그만큼 성공주의에 젖어 있습니다. 또한 자기만 되면 된다는 이기주의를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한국 대학 입시가 이런 것을 방임 내지는 조장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미국 대학 입시 원서에 보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대학에 지원하지 않으면 이유를 써야 합니다. 예를 들어, 특별한 (아프리카 봉사나 여행) 했거나 취직등 사회경험을 사람을 우대하기 위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그런에 우리나라처럼 좋은 대학에 가기 위해 재수를 했다고 쓰면, 모두 불합격시킬 것입니다. 대학측에서는 도무지 이해가 것이고, 자기의 성공만을 위해 사는 사람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기억으로, 거의 모든 대학이 뽑기 원하는 학생은, ‘사회와 지역에 봉사하는 리더의 자질을 갖춘 학생입니다. 그래서 좋은 대학에 가려고 재수하는 사람은 자신만을 위해 사람이기 때문에 대학이 가장 싫어하는 부류의 사림입니다.

 

미국 대학 입학원서에 보면 여름 방학 무엇을 했는지 쓰는 곳이 있습니다. 여름 방학 한국의 수능인 SAT 공부하는 것이 우리의 상식입니다. 그런데 미국 대학은 그것을 가장 싫어합니다. 역시 자신만을 위해서 사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대학이 원하는 정답은 맥도날드나 주유소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것입니다. 자신이 독립적으로 돈도 벌고, 사회도 경험할 있기 때문입니다.

 

일류 대학을 보면, SAT 만점을 받은 학생이 입학 정원보다 많습니다. 그런데 합격자중에 SAT 만점을 받은 사람은 25% 되지 않습니다. SAT보다는 사회봉사나 학교 동아리 활동, 운동이나 음악등 과외활동을 많이 고려하기 입니다.

 

한국도 수시에서는 학교생활기록부등을 제출하지만 이런 것들이 입시 당락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학교 수상 내역이나 사회봉사에 대한 자료를 내지 못하게 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하면, 객관적이고 공평하게 판단할 있지만, 학력 아니라 인성을 고려할 없습니다.

 

한국 대학이 이렇게 밖에 없는 이유를 다음 주에 말씀드리겠습니다.


  1. No Image 05Feb
    by Jungho
    2024/02/05 by Jungho
    Views 33 

    2024년 2월 4일 - 제가 좀 다쳤습니다

  2. No Image 29Jan
    by Jungho
    2024/01/29 by Jungho
    Views 20 

    2024년 1월 28일 - 한국의 문제 – 신뢰의 문제

  3. No Image 22Jan
    by Namju
    2024/01/22 by Namju
    Views 19 

    2024년 1월 21일 - 한국의 문제 – 대학 입시의 문제

  4. No Image 14Jan
    by Jungho
    2024/01/14 by Jungho
    Views 32 

    2024년 1월 14일 - 한국의 문제 - 저출산의 문제

  5. No Image 07Jan
    by Jungho
    2024/01/07 by Jungho
    Views 28 

    2024년 1월 7일 - 2023 결산과 2024년 부탁

  6. No Image 31Dec
    by Jungho
    2023/12/31 by Jungho
    Views 29 

    세 겹줄 금식기도와 삶 공부 안내 - 2023년 12월 31일

  7. No Image 19Dec
    by Namju
    2023/12/19 by Namju
    Views 56 

    주일에 공동의회를 합니다 - 2023년12월 17일

  8. No Image 09Dec
    by Namju
    2023/12/09 by Namju
    Views 44 

    꾸준히 성장하는 것이 비전입니다 - 2023년12월 10일

  9. No Image 03Dec
    by Namju
    2023/12/03 by Namju
    Views 34 

    겨울을 맞아 드리는 부탁 말씀 2023년12월 3일

  10. No Image 26Nov
    by Namju
    2023/11/26 by Namju
    Views 37 

    본을 보여주세요 2023년11월26일

  11. No Image 19Nov
    by Namju
    2023/11/19 by Namju
    Views 42 

    다음 세대와 전도와 선교 2023년11월19일

  12. No Image 12Nov
    by Jungho
    2023/11/12 by Jungho
    Views 43 

    11월 12일 - 다음 주일 침례식에 대하여

  13. No Image 05Nov
    by Jungho
    2023/11/05 by Jungho
    Views 38 

    11월 4일 - 극단치(Outlier)에 대하여

  14. No Image 28Oct
    by Jungho
    2023/10/28 by Jungho
    Views 38 

    10월 29일 - 바늘 도둑이 소 도둑?

  15. No Image 22Oct
    by Namju
    2023/10/22 by Namju
    Views 100 

    10월 22일 - 장흥신 목사님이 동사(同使)목사로 섬깁니다

  16. No Image 15Oct
    by Namju
    2023/10/15 by Namju
    Views 49 

    10월 15일 - 오늘 담임목사 청빙 의결을 합니다

  17. No Image 10Oct
    by Namju
    2023/10/10 by Namju
    Views 20 

    10월 8일 - 추수감사주일을 맞아서

  18. No Image 01Oct
    by Jungho
    2023/10/01 by Jungho
    Views 47 

    10월 1일 - 차기 담임목사 청빙 의결을 합니다

  19. No Image 25Sep
    by Jungho
    2023/09/25 by Jungho
    Views 18 

    9월 24일 - 야외 예배로 없습니다

  20. No Image 17Sep
    by Jungho
    2023/09/17 by Jungho
    Views 26 

    9월 17일 - 컨퍼런스를 다녀와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6 Next
/ 16